
2020 동지(애동지)에는 팥떡(시루떡)을 해서 먹는다
동지는 24절기 중 태양이 지구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태양빛이 가장 적게 들어와 날씨가 춥고 밤이 가장 길다.
올 2020년은 12월 21일 저녁 7시로 24절기 중 22번째 절기인 동지(冬至)면서 애동지다.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동지를 작은설이라고도 했으며,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도 부른다.
▼ 24절기
계절 | 절기 | 특징 | 계절 | 절기 | 특징 |
봄 | 입춘(立春) : 2월 4일경 | 봄의 시작 | 가을 | 입추(立秋) : 8월 7일경 | 가을의 시작 |
우수(雨水) : 2월19일경 | 봄을 알리는 비 | 처서(處暑) : 8월 23일경 | 가을농사의 시작 | ||
경칩(驚蟄) : 3월 6일경 | 만물이 깨어남 | 백로(白露) : 9월 8일경 | 이슬이 내림 | ||
춘분(春分) : 3월21일경 | 낮과 밤이 같음 | 추분(秋分) : 9월 23일경 | 낮과 밤이 같음 | ||
청명(淸明) : 4월 5일경 | 봄농사의 시작 | 한로(寒露): 10월 8일경 | 찬이슬이 내림 | ||
곡우(穀雨) : 4월 20일경 | 싹 틔우는 비 | 상강(霜降) : 10월 23일경 | 찬서리가 내림 | ||
여름 | 입하(立夏) : 5월 5일경 | 여름의 시작 | 겨울 | 입동(立冬) : 11월 7일경 | 겨울의 시작 |
소만(小滿) : 5월 21일경 | 여름농사의 시작 | 소설(小雪) : 11월 22일경 | 첫 눈의 시작 | ||
망종(芒種) : 6월 6일경 | 곡식농사의 시작 | 대설(大雪) : 12월 7일경 | 눈이 많이 내림 | ||
하지(夏至) : 6월 21일경 | 낮이 길어짐 | 동지(冬至) : 12월 22일경 | 밤이 깊어짐 | ||
소서(小暑) : 7월 7일경 | 여름더위의 시작 | 소한(小寒) : 1월 5일경 | 겨울 추위의 절정 | ||
대서(大暑) : 7월 23일경 | 여름더위의 절정 | 대한(大寒) : 1월 20일경 | 한겨울의 추위 |
애동지는 음력으로 11월 초순(1일~10일)이면 애(兒)동지, 중순(11일~20일)이면 중(中)동지, 하순(21일~30일)이면 노(老)동지로 친다.
흔히 동지는 밤이 길어 악귀가 활동하기 좋은 때라는 미신 때문에 민간에서는 팥죽을 만들어 먹거나 집안 곳곳에 두어 악귀를 쫓아내는 풍습이 있다. 붉은 팥은 오곡 중 악귀가 가장 무서워하는 곡식이라고 한다.
우리 조상들은 경사나 재앙이 닥쳤을 때 팥죽, 팥밥, 팥떡(시루떡)을 먹는 풍습이 있었다. 요즘도 고사를 지낼때 팥떡을 해서 나누는 것이다.

애동지는 팥을 즐기는 풍습이 다르다. 애동지 때 아기가 잇는 집에서는 아이 귀신을 쫓는 '축귀' 음식인 팥죽을 먹으면 아이에게 탈이 난다고 여겨, 팥죽을 해 먹지 않고 팥떡을 해 먹는 풍속이 일반적이다.

2020/12/13 - [분류 전체보기] - 코로나 3단계 초읽기 회사 재택근무 확산
코로나 3단계 초읽기 회사 재택근무 확산
코로나 3단계 초읽기 회사 재택근무 확산 12월12일까지 코로나 확진환자가 1030명을 기록하며 코로나19 전국적 유행 단계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가 초읽기에 들어 가면서 재택근무를 시행하는
1813532.tistory.com
2020/12/12 - [분류 전체보기] - 무료 타자 연습 사이트 소개
무료 타자 연습 사이트 소개
무료 타자 연습 사이트 소개 키보드 사용이 아직도 자연스럽지는 않아 가끔 타자 연습의 필요성이 있다. 독수리 타법으로 한글자 한글자 치던때는 손보다 눈이 더 바빠서 어지럼증이 생길 정도
1813532.tistory.com
2020/11/27 - [분류 전체보기] - 방아쇠 수지 증후군 증상 진단 치료법
방아쇠 수지 증후군 증상 진단 치료법
방아쇠 수지 증후군 오랜 시간 손을 사용해 일을 하는 직업군에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으로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진 않았다. 반복적인 손가락 사용으로 인해 손바닥에 지속적인 마찰이 가해지고
1813532.tistory.com
2020/11/11 - [분류 전체보기] - 화엄경 듣고 읽기
화엄경 듣고 읽기
화엄경 大(대) : 광대 무 변한 우주를 '대'라 한다. 方(방) : 우주 속에 하나하나 독립된 개체를 말한다. 廣(광) : 독립된 하나하나 부품이 관계 되는 것을 말한다. 佛(불) : 존재하는 하나하나가 저
1813532.tistory.com
2020/11/05 - [분류 전체보기] - 반야심경 보고 듣기
반야심경 보고 듣기
반야심경 반야심경이란 의미는 ‘지혜의 빛에 의해서 열반의 완성된 경지에 이르는 마음의 경전’으로 풀이할 수 있다. 심경의 ‘심(心)’은 일반적으로 심장(心臟)을 의미하는데,
1813532.tistory.com